![]() |
↑ 박승 한국은행 前총재가 토론회 축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국회 '리디노미네이션' 관련 토론회에 참여해 "화폐단위 변경에 대해서 꾸준히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사실 공론화가 부족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전 총재는 2002년 한은 총재 부임 당시 화폐제도 선진화 추진팀을 발족해 종합추진계획서를 발표하는 등 리디노미네이션의 필요성을 꾸준히 역설해 온 인사로 꼽힌다. 그는 "당시 화폐제도는 화폐의 재질이 안좋고 크기가 너무 커서 지갑에 들어가기 어려운데다 고액권도 없었다"며 "다른나라 총재조차 1달러가 네자리수 화폐(1000:1)로 교환되는 한국의 현 상황을 이해 못하고 있어 화폐단위변경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박 전 총재는 "이후 고액권을 발행하는 등 일부 개혁이 있었지만 국민의 여론이 안좋았다"며 "지난 화폐개혁에 대한 고통으로 리디노미네이션에 대한 국민적 동의를 보다 신중하게 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1000원을 1환으로 3920원을 3환92전으로 공3개만 떼어내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고 얘기하는 것이 국민 설득에 가장 좋다"고 주장했다. 이어 "신구 화폐를 1년동안 동시에 통용시켜 신권과 구권의 인식이 그대로 국민인식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 또한 방법"이라며 "신구권의 동시 가격표시를 의무화 하는 등 법을 제정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이어 리디노미네이션이 인플레이션을 우발할 수 있다는 우려에는 "유럽의 경우 물가가 0.3%포인트 정도 오르는 등 약간의 인플레 효과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이외에도 ATM 교체 등 관련비용이 적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투자가 될 수 있어 오히려 경기 부양효과가 있다"며 일축했다.
마지막으로 박 전 총재는 "이 문제는 '리디노미네이션'이라는 말을 안썼으면 좋겠다"며 "무슨 뜻인지 발음도 어렵고 일반 국민들에게 와닿지 않아 대신 '화폐단위 변경'이라는 말로 통일했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는 리디노미네이션의 현황, 시사점 등 각계 전문가의 입장을 듣고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 좌장은 연세대학교 조하현 교수가 맡았다. 임동춘 국회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