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두고 국내에서 돌봄 로봇 관련 특허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특허청에 따르면 돌봄 로봇 분야의 특허 출원은 2010~2012년 연평균 37건에 불과했으나, 2013~2015년에는 연평균 50여건, 최근 3년간은 연평균 72여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추세는 인구 구조의 변화와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과 접목한 관련 기술의 발전에 기인한 것으로 향후에도 해당 분야 출원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부터 최근 9년간 돌봄 로봇 관련 특허 출원인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대학·연구소(38%), 중소·중견기업(27%), 외국기업(17%), 개인(9%), 대기업(9%)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과 중소기업의 출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는 빠른 고령화 속도에 비해 돌봄 로봇 시장이 아직 초기단계이고, 연구기관과 스타트업(start-up) 중심으로 연구 개발이 진해되고 있음을 뜻한다. 출원 분야는 식사·이승 보조와 같은 일상생활 지원(40%), 혈당·혈압 관리와 같은 건강 관리(27%), 재활 지원(10%) 순으로 나타났다.
전일용 특허청 로봇자동화심사과장은 "로봇 기술의 적용 범위가 고령자 돌봄까지 확대됨에 따라, 어르신의 삶의 질 향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