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올해 1분기에 전분기 대비 -0.3%를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여 만에 가장 낮은 경제성장률입니다. 5개 분기 만에 또 역(逆)성장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이처럼 집계됐다고 오늘(25일) 밝혔습니다. 이날 발표된 것은 속보치로, 추후 집계될 잠정치와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전기 대비 실질 GDP 증가율, 즉 경제성장률은 -0.3%입니다. 이는 금융위기를 겪던 2008년 4분기(-3.3%) 이후 최저입니다.
금융위기 이후 성장률이 처음으로 뒷걸음질 친 것은 2017년 4분기(-0.2%)였습니다. 이번 성장률은 이보다 0.1%포인트 낮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1.8%입니다. 2009년 3분기(0.9%) 이후 9년 반 만에 최저입니다. 직전 시기와 비교하든,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하든 약 10년 만에 가장 나쁜 실적입니다.
수출과 투자가 함께 부진한 게 역성장의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전기 대비로 수출이 -2.6%, 수입이 -3.3%를 기록했습니다. 설비투자는 -10.8%, 건설투자도 -0.1%입니다.
설비투자는 지난해 1.6% 감소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6.1% 또 감소했습니다. 건설투자 역시 지난해 4.0% 줄고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7.4% 더 줄었습니다.
특히 설비투자는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을 받았던 1998년 1분기(-24.8%) 이후 21년 만의 최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수출은 액정표시장치(LCD) 등 전기·전자기기를 중심으로 감소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수입은 기계·장비, 원유·천연가스를 중심으로 감소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반도체 시장의 부진, 현대자동차 노사협약 지연에 따른 공급차질도 영향을 줬다"고 말했습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와 운송장비 감소가 주원인이었다. 운송장비 감소는 지난해 4분기 선박·항공기 투자가 대규모 집행된 측면도 작용했습니다.
건설투자는 주택건설이 부진한 가운데 토목건설도 감소했습니다.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사업도 실제 집행에 시차가 걸린다고 한은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여기에 올해 1분기는 지난해 4분기의 정부 지출 효과가 사라진 데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민간소비와 정부소비는 각각 전기 대비 0.1%와 0.3% 증가했습니다. 민간소비 중 의료 등 서비스와 의류 등 준내구재는 소비가 줄었지만, 가전제품 등 내구재가 늘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2.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개선으로 전기 대비 0.2% 좋아졌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0.6% 나빠졌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