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 수준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기업 비중을 OECD 중위권으로만 끌어올려도 200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18일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 대기업 비중이 전체 기업의 0.09%로 조사대상 OECD 국가 34개국 중 33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사업체 1만 개 중 대기업은 단 9곳에 불과한 셈이다. 한경연은 대기업 기준을 한국은 300인 이상, OECD국가는 250인 이상 사업장으로 삼았다.
대기업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는 스위스(0.82%)로 우리나라와는 약 9배 차이를 보였다. 미국(0.62%), 뉴질랜드(0.50%), 독일(0.48%)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터키(20위), 리투아니아(19위) 같은 국가들보다도 대기업 비중이 낮았다.
대기업 비중은 1인당 국민소득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됐다. 한국과 함께 대기업 비중 최하위권을 형성한 그리스(34위), 이탈리아(32위), 포르투갈(31위), 스페인(30위) 등은 1인당 국민소득이 모두 OECD 평균 이하인
한경연은 한국의 대기업 비중이 OECD 중간 수준인 0.19%로 상승할 경우 3000여개의 대기업이 늘어나 약 252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중소·중견 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규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