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들어 인플루엔자 의심환자 수가 계속 증가추세다. 12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외래환자 1000명 당 인플루엔자 의심환자 수를 가리키는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3월 17~23일 20.3명, 24~30일 27.2명에 이어 31일~4월 6일에는 32.2명으로 30명 선을 돌파했다.
연령별로는 13∼18세 의사환자 분율이 가장 높고 7∼12세가 그 뒤를 이어, 집단생활을 하는 초·중·고교생에게서 인플루엔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18세 의사환자 분율은 3월 17∼23일 47.9명, 24∼30일 71.6명, 31∼4월 6일 90.0명, 7∼12세의 경우 3월 17∼23일 51.9명, 24∼30일 67.1명, 31∼4월 6일 86.6명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영유아 보육시설, 학교, 요양시설 등 집단시설과 가정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영·유아를 비롯한 학생이 인플루엔자에 걸렸을 경우 집단 내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증상발생일로부터 5일이 지나고 해열제 없이 체온이 회복된 이후 48시간까지는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학원 등에 등교를 하지 않아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올바른 손씻기, 기침예절 실천 등의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38도 이상의 발열과 기침 또는 인후통 등 인플루엔자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초기에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했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타미플루 등 오셀타미비르 성분 계열의 부작용 논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질병관리
[서정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