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신성E&G가 국내에처 처음으로 개발한 `일체형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 널리 쓰이는 실리콘 태양전지 위에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쌓은 탠덤 구조다. [사진 제공 = UNIST]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의 최경진·송명훈 교수 연구진은 국내 기업인 신성E&G와 함께 '일체형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탠덤'은 서로 보완적인 두 개 이상의 광흡수 반도체를 수직으로 쌓는 다중 접합 태양전지의 탠덤 구조를 의미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3월 19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실험실 환경에서 21.19%의 에너지 전환 효율을 달성해 탠덤 태양전지 가운데 세계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최경진 교수는 "향후 상용화 연구에 돌입하면 실제 효율은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태양광 산업 대부분을 차지하는 실리콘 태양전지는 효율을 높이거나 제조비용을 낮추는 데 모두 한계에 도달했다. 이미 이론적인 최대 효율(29%)에 가까운 26.6%까지 다가섰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태양전지의 전력생산 단가가 W(와트)당 0.16달러 이하로 떨어져 수익성도 악화된 상황이다. 차세대 태양전지로 고효율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개발되고 있긴 하지만 안정성 측면에서는 아직 실리콘 태양전지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반면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는 이론적으로 에너지 전환 효율을 30% 이상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예측돼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최대 효율 한계를 뛰어 넘을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 생산공정을 그대로 쓰면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장점을 더해 저비용·고효율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어 상용화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진은 제조 단가가 가장 낮은 실리콘 태양전지를 아랫부분에 쓰고 그 위에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쌓았다. 광학적인 계산 설계 덕분에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됐다는 게 연구진 측의 설명이다.
논문의 제1저자인 김찬울 UNIST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단일 접합 태양전지에서는 태양광 흡수 범위가 정해져 있어 다른 영역의 태양광이 투과되거나 열에너지로 낭비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번에 개발한 탠덤 구조의 태양전지
[송경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