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
의료계에 따르면 서우근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와 이준영 고려대 의학통계학교실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은 지난 2002~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를 토대로 암환자 2만707명과 일반인 67만5594명의 뇌졸중 발병 위험을 비교·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팀은 2002년부터 2015년 사이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를 토대로 암환자 2만 707명과 일반인 67만 5,594명의뇌졸중 발병 위험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암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모든 뇌졸중 발병 위험은 13%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허혈성 뇌졸중 위험은 증가율은 17%에 달했다.
암 환자와 일반인 사이의 뇌졸중 위험 격차는 암 환자가 암을 진단받은 뒤 3년차까지 벌어지다가 7년차부터는 유지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암을 진단받은 뒤 7년이 지났을 때의 암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뇌졸중으로 사망할 위험이 21% 높았다.
연구팀은 암 환자와 일반인 사이의 뇌졸중으로 인한 위험의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 중 하나로 항암화학요법을 꼽았다. 실제 암환자 사이에서도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의 뇌졸중 발병 위험이 21% 더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암종 별로도 뇌졸중과의 연관성이 달랐다. 위, 대장 등 소화기암이나 폐암 등 흉곽 내 장기에서 발생한 암은 뇌졸중과 뚜렷한 관련성을 보였다. 그러나 인두암, 갑상선암, 유방암 등 일부 암종과는 관련이 없다는 점이 이번 연구에서 드러났다.
서우근 교수는 "암으로 인한 고통도 큰 데 뇌졸중 위험까지 겹치면 환자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인뉴롤로지(Frontiers in Neur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