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신개념 TV 스트리밍과 뉴스 사업을 마침내 공개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파크의 스티브 잡스 극장에서 열린 '애플 스페셜 이벤트'에서 연간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는 새로운 TV 스트리밍 서비스인 'TV플러스(+)'와 번들형 뉴스·잡지 구독 서비스 '뉴스플러스(+)', 구독형 게임 서비스 '애플 아케이드', 골드만삭스와 제휴한 '애플카드'를 발표했다.
애플이 아이폰 신제품 언팩(공개) 같은 하드웨어가 아닌 디지털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위해 이처럼 큰 이벤트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 일부 IT 매체는 이날 이벤트를 2011년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 사망 이후 8년 만의 극적인 대전환이라고 전했다.
먼저 애플 TV플러스는 아이폰, 아이패드, 맥(Mac), 애플 TV 앱 적용 기기 등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14억 개의 애플 디바이스를 광범위한 네트워크로 활용한다는 사업 전략 아래 발표됐다. 애플 TV 앱이 연동되는 기기에는 삼성·LG·소니의 스마트TV도 포함된다.
쿡 CEO는 "TV플러스는 대단한 스토리텔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 TV플러스는 로쿠, 아마존 파이어TV 등에서도 서비스된다. 경쟁사 플랫폼까지 벽을 허물고 진입한다는 전략이다.
쿡 CEO는 "광고없는 월드와이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올 가을 시작한다"고 선언했다.
TV플러스에 애플은 연간 10억 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넷플릭스·HBO의 투자액보다는 적은 액수다.
미 방송업계에서는 애플 TV플러스가 넷플릭스의 몰아보기(binge watching)에 대응할 대항마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1억390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기업이다.
넷플릭스가 시장을 선점한 만큼 애플은 디즈니, 아마존, AT&T 등과 2위를 놓고 다툴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쿡 CEO는 이날 또 내셔널지오그래픽, 피플, 빌보드, 뉴요커 등 300개 이상의 매거진, 월스트리트저널(WSJ), LA타임스 등 주요 신문을 망라한 번들형 신문·잡지 디지털 구독서비스 '뉴스플러스'를 선보였다.
애플은 오프라인으로 각각 받아보면 연간 8000달러가 드는 구독 서비스를 월 9.99달러에 제공하겠다고 공언했다.
애플은 이어 첫 신용카드인 애플카드도 선보였다.
골드만삭스, 마스터카드와 제휴하고 애플맵과 연동해 카드 사용처를 추적할 수 있는 카드로 모바일에서 완벽하게 통제 가능하다고 애플은 소개했다. 또 연회비, 해외사용 수수료가 없고 2%의 캐시백(결제 시 일정액을 돌려받는 혜택)이 적용된다.
애플카드는 애플 페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밖에 새로운 게임구독 서비스 애플 아케이드도 선보였다.
애플은 지난해 전체 매출(
하지만 애플 주가는 애플의 이같은 사업 발표에도 불구하고 1.21% 하락 마감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상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