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게 닫혀있던 조선·중공업 기업들의 취업 문이 업황 회복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오늘(25일) 취업 정보업체 인크루트에 따르면 조선·중공업 대기업 7개사가 올해 상반기 신입사원 희망자를 모집했거나 모집 중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먼저 삼성중공업·삼성엔지니어링·삼성물산(건설부문)은 지난 19일까지 올해 상반기 3급 신입사원을 모집했습니다.
이들 3개사의 모집 부문도 기술직부터 생산공정관리직, 안전관리직, 경영지원직 등 다양했습니다.
현대중공업도 지난 18일까지 올해 상반기 연구장학 및 연구신입 사원을 모집했습니다.
현대미포조선은 지난 1월 말 대졸 신입사원 모집을 마친 상태이고, 작년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을 채용했던 현대삼호중공업은 올해 상반기에는 경력직을 채용합니다.
대우조선해양 역시 오는 31일까지 건축·토목 부문 신입사원을 모집합니다.
STX중공업도 선재사업·경영개선 부문에서는 경력사원을 채용한데 이어 영업과 설계파트에서 신입사원을 모집할 예정입니다.
이들 회사 가운데 삼성중공업·현대미포조선·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상반기 신입 공채를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각각 4년, 3년 만에 작년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를 실시해 고용시장에 온기가 돌기 시작했고, 올해 상반기에는 조선·중공업계 취업 문이 더 크게 열린 것입니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1월 기준 조선업 인력 수요 규모가 삼성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협력업체를 중심으로 약 4천 200명일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조선·중공업 취업 문이 열린 건 업황 회복의 '온기'가 고용으로 연결된 측면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선가 인상과 해양구조물 발주 재개, 산업 구조조정 등 업황 회복의 시그널이 지속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조선업은 거시경제 지표에 민감히 반응하는 만큼, 지난해 극에 달했던 미·중 무역분쟁이 올해 예상대로 완화될 경우 추가적인 업황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9일 국무회의에서 "제조업의 활력을 살리는 것이 우리 경제를 살리는 길"이라고
또 노동부도 조선업의 경기 회복을 맞아 과도기적으로 발생하는 인력 '미스매치'(수급 불일치)를 해소하고 조선업 신규 인력 유입을 지원하기 위한 '조선업 특별고용지원 업종 인력수급 현황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한 상태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