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출처 = 연합뉴스] |
4일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D램 시장 매출은 996억5500만달러(약 112조원)로 전년(717억2000만달러) 대비 39.0% 증가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업체별로는 삼성전자가 437억4700달러(약 49조100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점유율 43.9%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선두 자리를 유지했다. SK하이닉스는 매출 294억900만달러(약 33조1000억원)로 점유율 29.5%를 기록하며 그 뒤를 이었다.
두 업체의 D램 시장 합계 점유율은 무려 73.4%에 달했다. 전세계 D램 매출의 약 4분의 3을 두 한국 업체가 올린 셈이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 점유율이 31.2%로, 분기 기준 30%를 돌파하며 3위인 미국 마이크론(23.5%)을 비교적 큰 차이로 따돌렸다. 삼성전자의 4분기 점유율은 41.3%로, 1년 전(46.0%)보다는 떨어졌다.
디램익스체인지는 올해 '반도체 코리아 연합군' 메모리 시장 점유율이 더 올라갈 것으로 내다봤다.
전체 시장 매출 전망치를 올해보다 17.5% 감소한 822억4700만달러(약 92조4000억원)로 제시한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점유율은 각각 44.9%와 29.6%로 동반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전세계 낸드플래시 시장 매출은 632억1000만달러(71조원)로 처음 600억달러를 넘어서며 역시 신기록을 세웠다.
삼성전자가 221억900만달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점유율 합계는 45.6%로, 1년 전(47.2%)보다는 다소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디지털뉴스국 김승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