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이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미중 무역협상과 브렉시트 등 이슈와 맞물리면서 단기적으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정부는 오늘(4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이호승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진단했습니다.
이 차관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국제금융시장에는 미중 무역협상, 브렉시트, 세계 경기둔화 우려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면서 "이런 요인과 맞물려 단기적으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 관련 이벤트가 미치는 영향이 대체로 일시적이고 제한적이었던 만큼 회담 결과가 국내 금융시장에 직접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어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고,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지속되고 있으며, 외환보유액이 사상 최고 수준인 점 등으로 미뤄볼 때 한국 경제가 양호한 대외건전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차관은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문 서명 없이 종료됐으나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라며 "회담 종료 직후엔 우리나라를 포함해 주요국 증시가 다수 하락했으나 3월 1일엔 대부분 국가가 상승 전환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역외시장에서 원/달러
이 차관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에 대해 "내외 금리차가 벌어져 있는데도 자금이 계속 들어오고 있다"며 "과거보다 외국인 자금이 갖는 중요도도 경감됐다"고 설명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