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6일 서울 동숭동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대 재벌 토지자산 실태를 발표했다.
경실련이 이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5대 그룹이 보유한 토지자산은 금융감독원 공시 기준 총 67조5000억원으로 2007년 23조9000억원에서 43조6000억원 증가해 2.8배가량 늘어났다.
2017년 말 기준 토지자산이 가장 많은 그룹은 현대차(24조7000억원)였다. 삼성(16조2000억원), SK(10조2200억원), 롯데(10조1900억원), LG(6조3000억원)가 그 뒤를 이었다.
지난 10년간 토지자산 금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도 현대차다. 무려 19조4000억원이 증가했다. 삼성은 8조4000억원, SK는 7조1000억원, LG는 4조8000억원, 롯데는 4조원 각각 늘었다.
이들 그룹 내 계열사별로 놓고 보면 현대자동차의 보유 토지자산이 10조6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삼성전자 7조8000억원, 기아자동차 4조7000억원, 호텔롯데 4조4000억원, 현대모비스 3조5000억원 순이었다.
경실련은 "재벌기업이 주력 사업에 투자하고 일자리를 늘리는 것보다 부동산을 통해 몸집을 불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이는 토지가격 상승으로 인한 불로소득, 토지를 이용한 분양수익, 임대수익 등으로 생산활동보다 손쉬운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윤순철 경실련 사무총장은 "기업들이 설비투자나 연구보다 부동산 투기에 관심을 갖는다면 우리 사회도 발전 동력
또 재벌의 부동산 투자가 세습에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투명한 자료 공개와 감시 장치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를 위해 자산 5조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의 보유 부동산에 대한 ▲건별 주소 ▲면적 ▲장부가액 ▲공시지가·공시가격 공개 등을 요구했다.
[디지털뉴스국 노경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