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픽사베이] |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피부과의 권오상 교수와 김진용 임상강사로 구성된 연구팀은 인간과 동일한 수준의 면역체계를 가진 인간화마우스 24마리에 자외선B 조사를 통해 수지상세포를 제거한 동종 모발을 조혈모세포 이식 방식으로 이식한 결과 새로운 검은 털이 만들어졌고, 면역 거부 반응 없이 6개월 이상 장기 생존했다.
연구팀이 제거한 수지상세포는 T세포에게 공격 대상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식된 장기도 이를 이물질이나 병균으로 생각하고 T세포의 공격을 유도한다. 특히 공여자의 수지상세포가 급성 면역거부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데 주목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탈모 환자에게 건강한 사람의 모낭을 이식할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서 이번 연구 결과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수지상세포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면역억제제를 투약하면 면역거부반응을 피할 수 있지만,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질환인 탈모 치료에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지금까지의 모낭 이식은 환자 자신의 모낭을 옮겨 심는 자가이식만 이뤄졌다. 문제는 이식을 위해 모낭을 떼어낸 곳에서는 모낭이 다시 생기지 않는다는 점이다. 자가이식술을 받아
권오상 교수는 "면역억제제 사용이 없는 모발이식에 새로운 의학적 근거를 얻었다"며 "임상에 적용하기까지 난관이 있겠지만, 기존에 불가능했던 새로운 이식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