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기업인들이 개성에 두고 온 시설 점검을 위해 오는 16일 방북을 추진한다.
9일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기자회견에서 비대위는 "그동안 여섯차례에 걸쳐 시설점검을 위한 방북신청을 했지만, 불허 또는 유보 결정이 내려졌다"며 "박근혜정부의 일방적인 지시에 의해 철수한 공장의 설비 관리를 위해 방북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기자회견 직후 정부서울청사 통일부를 찾아 방북 신청서를 제출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16일 하루, 1사 1인 규모로 산정해 179명의 방북을 신청했지만 허가가 난다면 기간과 인원은 유동적일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특히 정부가 기업 생존을 위한 정당한 보상대책 수립과 함께 개성공단 재개를 위한 국제사회 설득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촉구했다. 비대위는 "지난 3년간 개성공단 기업인은 파산의 위기 속에서 재개를 희망하며 생존을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며 "정부는 경협보험금과 긴급 대출로 개성공단 기업이 경영정상화를 이뤘다고 얘기하지만 기준엔 못미친다"고 설명했다.
통일부의 역할에 대해서도 "지난해 7월 미국 대사관의 요청으로 마크 램버트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 대행을 만났을 때 시설점검용 방문은 한국 정부가 알아서 할 일 이라는 취지로 말한바 있다"며 "개성공단은 미국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 무관하게 사업이 시작된만큼 향후에도 대북제재의 예외사업으로 받아들여질수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20여명의 개성공단 입주 기업인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기다리는데 지쳤다. 희망고문 끝내자' '남북평화번영의 시작, 개성공단 정상화!' 등이 쓰여진 피켓을 들고 방북 허가를 촉구했다.
[조성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