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민 평균 외식 횟수와 비용이 전년보다 줄어들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경기에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식비 지출까지 줄인 것입니다.
오늘(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전국 20~69세 성인 3천14명을 대상으로 외식 소비 행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음료를 포함한 월평균 외식빈도는 20.8회, 외식 비용은 29만2천689 원이었습니다.
전년도에는 월평균 21.8회, 30만3천854 원이었는데 각각 1회, 1만1천 원가량 줄어든 것입니다.
유형별 월평균 외식빈도는 방문 외식이 13.7회, 배달 외식과 포장 외식이 나란히 3.6회였습니다.
전년 방문 외식이 15.1회, 배달 외식이 3.4회, 포장 외식이 3.3회였던 것과 비교하면 배달·포장 외식이 소폭 증가한 반면 방문 외식의 감소 폭이 컸습니다.
방문 외식 시 주로 이용하는 음식점은 한식(59%), 구내식당(7%), 패스트푸드(6%) 순이었습니다.
배달 외식 중에서는 치킨이 52%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중국 음식(22%), 패스트푸드(12%) 순이었습니다.
방문 외식 중에서는 패스트푸드(25%), 한식(19%), 분식류(19%) 순으로 이용 빈도가 높았습니다.
평균 지출 비용은 방문 외식 1만1천66 원, 배달 외식 1만4천709 원, 포장 외식 9천945 원이었습니다.
방문 외식의 주요 메뉴로는 김치찌개, 백반, 된장찌개가 꼽혔고 배달 외식의 경우 치킨, 자장면, 짬뽕, 포장 외식의 경우 햄버거, 김밥, 치킨 등이었습니다.
외식 때 '혼밥'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상대로 월평균 '혼밥' 외식빈도를 물은 결과 3.5회로 나타났습니다.
남성이 4.4회, 여성은 2.5회였고 연령별로는 20대가 월평균 5.1회로 가장 많았습니다.
'혼밥' 외식 때 주로 이용하는 음식점은 한식(49.5%)이 가장 많았고 패스트푸드(45.8%), 김밥·분식류(41.1%), 중식(34%), 치킨(24.9%) 등 순이었습니다.
한편 aT는 올해 부상할 3대 외식 트렌드로 '비대면 서비스화', '편도족의 확산', '뉴트로 감성'을 꼽았습니다.
aT는 키오스크나 웹 기반 채팅 주문, 모바
'편도족'은 편리한 식사와 편의점 도시락 식사의 중의적 용어로, 소비심리 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간편하면서도 만족할 만한 식사를 찾는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aT는 내다봤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