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 연합뉴스] |
6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6.0%로 조사대상이 된 43개국 중 7위를 기록했다. 1위는 스위스(128.8%)로 조사됐고, 호주(121.3%), 덴마크(117.0%), 네덜란드(103.6%)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그러나 증가속도 면에서는 최상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분기 대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증가폭이 0.8%포인트로 중국(1%포인트)에 이어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중국의 2분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50.3%였다.
1년 전인 2017년 2분기 때와 비교해도 한국의 상승폭은 2.4%포인트로 중국(3.4%포인트)과 덴마크(2.9%포인트)에 이어 3위에 해당됐다. 43개국 평균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이 기간 61.2%에서 59.3%로 1.9%포인트 감소한 것과는 대비된다. 세계주요 20개국(G20)의 평균치 역시 같은 기간 60.2%에서 58.5%로 1.7%포인트 하락했다.
대출 관련 규제가 대폭 완화돼 가계부채가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2014년(연말기준)과 비교하면 4년간 14.0%포인트가 상승해 중국(15.5%포인트), 노르웨이(14.7%포인트)에 이어 역시 3위를 차지했다.
정부가 2017년 8.2 부동산 대책을 내놓는 등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른 나라에 비해 경제 규모 대비 가계부채가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지난 3분기 말 전분기 대비 1.5%(22조원) 증가하며 사상 처음으로 1500조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가계부채 증가에 따라 빚 상황 부담 역시 가중되고 있다. 한국의 가계 부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지난해 2분기 말 12.4%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DSR는 총부채 원리금 상환
[연규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