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미세먼지로부터 시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대기오염측정소를 기존 51곳에서 56곳으로 확대했다. 또 더 신뢰도 높은 대기환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대기오염측정망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25일 서울시 대기오염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은 최근 시흥대로에 도로변측정소를 설치하고 올해 4개 측정소(송파구, 성동구, 서대문구, 마포구)의 위치를 옮겼다고 밝혔다. 어수미 보건환경연구원 대기환경연구부장은 "공원 내에 위치해있던 송파구, 성동구 측정소를 주거지역으로 옮기고, 채취구 높이가 20m 이상에 위치했던 서대문구, 마포구 측정소도 채취구 높이 20m 이하의 위치로 옮겨 새롭게 설치를 완료했다"며 "기존 위치에 있는 4개 측정소의 주요 장비를 유지해 입체측정소로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서울시는 각 자치구의 대표적 대기질을 모니터링 하는 도시대기측정소 25개,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영향을 측정하는 도로변대기측정소 15개, 대기오염물질의 수직·수평이동을 관찰하는 도시배경 및 입체측정소 10곳 등 50개의 고정 대기오염측정소를 갖추게 됐다. 아울러 이동 측정 차량 6대를 포함해 도합 56곳을 운영하게 됐다. 면적 대비 국내서 가
앞으로 서울시는 모델링 기법 및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활용해 대기환경정보지원시스템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또 간이측정기 인증제 시행과 함께 1㎢ 단위 생활권내의 촘촘한 미세먼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