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의 목소리를 빌리긴 했지만 카드사들은 내심 불만이 큽니다.
당장 카드사 이익이 크게 줄어 결국엔 소비자들이 누리던 카드 혜택도 줄고 연회비도 늘어날 것 같습니다.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상황이죠.
이기종 기자입니다.
【 기자 】
카드사들은 각종 혜택을 내걸고 카드 발급을 권합니다.
무이자 할부나 포인트 적립, 할인 등이 대표적입니다.
▶ 인터뷰(☎) : OO카드 상담원
- "영화를 자주 본다면 영화에 특화된 카드가 있고, 그게 아니면 쇼핑 교육 업종에 특화된 카드가 있고요."
이 같은 혜택과 광고비를 합친 카드사들의 마케팅 비용은 매년 증가해 지난해 6조 원을 넘었습니다.
금융위원회가 대형 가맹점을 대상으로 하는 과도한 혜택을 줄이면 카드사가 수수료 인하분을 감당할 수 있다고 본 이유입니다.
금융위는 신규 고객은 물론, 약관 변경을 통해 기존 고객의 부가서비스도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연회비도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카드사들도 혜택 축소 외에는 대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
카드사 수수료 수입은 지난해 수수료 개편안까지 1조 4천억 원 정도 줄어들게 되는데, 지난해 순익을 넘어서는 수준입니다.
▶ 인터뷰 : 윤민수 / 여신금융협회 홍보팀장
- "업계 재무상황이 날로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수수료 인하 충격을 어떻게 상쇄할지 우려됩니다."
정부는 빅데이터 활용 등 규제 완화로 카드사의 경쟁력을 높일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당장 시행되기는 어려워 소비자 혜택 감소는 피할 수 없을 전망입니다.
MBN뉴스 이기종입니다. [ mbnlkj@gmail.com ]
영상편집 : 이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