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의 3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76.0% 감소한 2천889억원으로 충격적인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0년 새로운 회계기준(IFRS)이 도입된 이후 분기 기준으로 최저의 영업이익입니다.
현대차는 오늘(25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2018년 3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하는 콘퍼런스콜을 하고 이 같은 내용의 영업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3분기 매출액은 24조4천337억원으로 작년과 견주어볼 때 1.0%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천889억원으로 76.0%나 감소했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도 1.2%로 작년 동기보다 3.8%포인트나 하락했습니다.
차량 판매 실적은 작년 동기와 견줘 0.5% 감소한 112만1천228대로 집계됐습니다. 중국을 제외할 경우 0.3% 증가한 93만7천660대를 팔았습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중국 시장의 경우 3분기에 일시적 수요 감소로 판매가 줄었다"며 "하지만 9월까지 누적 판매는 작년보다 14.7% 늘어난 56만1천152대를 기록했다"고 말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싼타페 등 신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판매 호조가 지속됐지만 영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1.4% 줄어든 17만1천443대의 판매 실적을 보였습니다.
해외시장 역시 유럽 권역과 신흥시장에서의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북미 권역과 중국시장 판매 감소 등으로 0.4% 감소한 94만9천785대에 머물렀습니다.
매출액은 원·달러 환율 하락 등으로 자동차 부문 매출이 소폭 감소했지만 금융과 기타부문 매출이 성장세를 보이며 1.0% 늘었습니다.
영업부문 비용은 비용 절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8.6% 증가한 3조4천3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월드컵 마케팅 활동 확대, 에어백 제어기 리콜, 미국에서 이미 판매한 차량을 대상으로 실시한 엔진 진단 신기술 'KSDS' 적용 등으로 일시적 비용 요인이 발생했다고 현대차는 밝혔습니다.
그 결과 영업이익은 76.0% 감소했고, 경상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67.1%, 67.4% 감소한 3천623억원, 3천60억원에 그쳤습니다.
현대차는 "3분기는 미국 등 주요 시장의 수요 둔화, 무역 갈등 우려 등 어려운 여건이 지속된 시기였다"며 "이런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고 브라질·러시아 등 주요 신흥국 통화가치가 작년보다 10∼20% 떨어지는 등 외부적 요인들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됐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에 3분기에 엔진 신기술 적용 비용을 반영하고 월드컵 마케팅 비용 등이 투입되면서 영업비용이 확대된 것도 한몫했습니다.
3분기까지의 누계 실적은 판매 336만2천758대(2.8% 증가), 매출액 71조5천821억원(0.4% 감소), 영업이익 1조9천210억원(49.4% 감소)으로 집계됐습니다. 판매는 양호했지만 수익성은 크게 후퇴한 성적표입니다.
현대차는 4분기부터는 수익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3분기에 일시적 비용을 반영한 데다 4분기부터는 주요 볼륨 차종(많
현대차 관계자는 "신규 SUV와 제네시스 모델 등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확대와 함께 내년에 스마트스트림, 3세대 플랫폼, 신규 디자인 등을 적용한 신차의 판매가 본격화하면 '신차 빅사이클'을 형성하며 영업부문의 이익 창출 능력이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