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미국·중국·일본 3국에 모두 뒤졌고 주요 20개국(G20)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OECD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한국의 실질 GDP(계절조정)는 1분기보다 0.6%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미국, 중국, 일본은 2분기에 각각 1.0%, 1.8%, 0.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은 한국이 1.0%로 중국(1.4%)보다는 낮았지만, 미국(0.5%), 일본(-0.2%)보다는 높았는데 2분기에 역전당했다.
G20의 2분기 성장률은 1.0%로 한국보다 높았다.
2분기 한국의 성장률은 OECD 평균에도 못 미쳤다.
OECD 회원국의 성장률은 1분기 0.53%였는데 2분기 0.70%로 개선하며 한국을 따라잡았다.
한국의 성장률이 낮아진 것은 투자 감소와 주력산업 부진의 영향이 크다.
한국은행 발표에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도 어두워지고 있다.
OECD는 최근 '중간 경제전망'(Interim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2.7%로, 내년 성장률을 2.8%로 수정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