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가 유출된 한국재정정보원은 이번 일이 벌어지기 직전에 억대 보안 점검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런데도 심재철 의원 보좌관들의 시스템 접속을 차단하지 못한 것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김경기 기자입니다.
【 기자 】
기획재정부 산하 한국재정정보원은 지난 6월 민간 업체에 보안 컨설팅을 맡겼습니다.
매년 정기적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1억 3천7백만 원의 비용이 들어갔습니다.
재정정보원은 8월 말 주요 정보통신시설의 취약점과 모의 해킹 결과 등 컨설팅 내역을 기획재정부에 보고했습니다.
문제는 점검 직후, 심재철 의원의 보좌관들이 새로 발급받은 ID로 '접근 불가능한 자료'를 들여다봤다는 점입니다.
기재부는 심 의원 측이 사실상 해킹을 한 거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은 모두 열람 가능한 자료였다며 오히려 정부가 억대의 국비를 투입하고도 허술하게 관리한 사실을 자인한 꼴이라고 비판합니다.
▶ 인터뷰 : 추경호 / 자유한국당 의원
- "인가되지 않은 곳에 외부에서 들어왔다고 하면 보안컨설팅을 했으면 완벽하게 막을 건 막고 그랬어야 하는 것 아닌가…."
재정정보원 측은 이번에 점검한 재정정보시스템과 정보 유출 문제가 불거진 열람 시스템은 별개라고 해명합니다.
하지만 왜 열람 시스템은 점검을 하지 않았는지에 대해선 별다른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경기입니다.
[ goldgame@mbn.co.kr ]
영상편집 : 전민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