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는 작년 기준 562만 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0년 222만 가구였던 1인 가구가 17년 사이에 152.6% 증가한 것이다.
이번 조사는 집단가구, 집단시설 가구, 외국인 가구, 군부대 내 거주자, 교도소 수용자 등을 제외하고 조사한 것으로 1인 가구는 전체 중 27.2%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국내 가구 수를 기준으로 보면 1인 가구가 가장 흔한 살림살이 형태가 됐다. 2인 가구의 비율은 26.7%로 뒤를 이었다.
1인 가구는 2000년 15.5%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5년 27.2%를 기록하며 가장 주된 가구가 됐다.
다만 일반 가구원 수를 모집단으로 놓고 보면 4인 가구의 가구원이 28.6%로 가장 비중이 컸고 1인 가구의 비중은 11.6%에 그쳤다.
1인 가구의 혼인 상태를 보면 2015년을 기준으로 미혼 43.8%, 이혼 15.5%, 사별 29.5%, 배우자 있음 11.1%였다.
2017년 기준 일반 가구원 중 1인 가구의 비율을 연령대로 구분하면 남자는 25~34세가 23.8%, 여자는 55~64세가 17.5%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특히 1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은 남자는 30세(22.5%)
2015년 기준으로 1인 가구의 주거지 점유 형태는 34.0%가 본인 소유 주택, 16.0%가 전세, 보증금이 있는 월세가 36.0%였다.
일반 가구의 주거 형태별 비율은 자가 56.8%, 전세 15.5%, 보증금 있는 월세 20.3%였다.
[디지털뉴스국 문성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