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과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주변 지역 또한 영향을 받아 청년층을 중심으로 내 집 마련을 포기하는 가구가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8일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집단시설 및 외국인 가구를 포함한 '주택 이외 거처' 거주 가구(오피스텔 제외)는 전년보다 2만6793가구(5.6%) 늘어난 50만6250가구였다.
통계청은 가구의 거처 유형에 따라 '주택'과 '주택 이외 거처'로 분류 기준을 두고 있다.
주택 이외 거처는 오피스텔과 호텔·여관을 비롯한 숙박업소, 기숙사 등 특수 사회 시설, 판잣집·비닐하우스, 음식점 등 상가에서 숙식을 해결하는 영세 자영업자를 포함한 기타 등으로 분류된다.
사실상 오피스텔을 제외한 모든 '주택 이외 거처'는 안정된 집 없이 생활하는 주거 취약가구인 셈이다.
지난해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1922만 가구로 전년보다 24만 1000가구(1.3%) 증가했다.
증가 속도를 비교하면 주거 취약가구(5.6%)가 주택 거주 가구에 비해 4배 이상 빠르게 증가했다.
서울 지역은 주거 취약가구의 증가세가 더욱 눈에 띈다.
서울지역의 오피스텔을 제외한 주택 이외 거처 가구는 지난해 9만4191가구로 전년보다 5157가구(5.8%) 증가했다.
이에 비해 동기간 서울의 주택 거주 가구는 4052가구(0.1%) 증가해 증가 폭이 미미하다.
주거 취약가구가 약 6% 증가하는 동안 주택 거주 가구는 사실상 제자리에 머무른 셈이다.
최근 집값이 개인 소득의 증가 폭보다 훨씬 빠르게 오르고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집을 마련하기를 포기하는 가구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고시원과 여권 등에서 생활하는 청년 1인 가구가 늘고 있다는 점도 주거 취약가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최승섭 부동산감시팀 부장은 "집값이 오르면서 1인 가구 등이 제대로 된 집을 갖지 못한 주거 취약가구로 밀려나고 있다"며 "특히 청년 1인 가구는 고시원 등에서 생활하는 가구가 많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채민석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