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장인성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30일 국가통계발전포럼에서 발표한 '고령화를 반영한 성장률 장기 전망' 보고서를 통해 취업인구의 연령 구조 변화 등을 고려한 성장률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대에는 성장률이 1.2%, 2030년대에는 평균 -0.4%를 전망하며 역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국회예산정책처(2.05%), 기획재정부(1.9%) 등 다른 기관의 2030년대 성장률 전망치와 대조되는 수치다.
장 연구위원은 "취업인구 가운데 지속해서 늘어날 고령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 잠재력 후퇴, 빠른 고령화로 인한 생산성 하락 등을 주된 요인으로 꼽았다.
주력 소비 계층인 베이비붐 세대 고령화와 저출산 등의 여파는 내년 이후 민간소비 지출 증가 폭을 크게 둔화시킬 것이라고 보았다.
박시내 통계청 통계개발원 사무관이 같은 포럼에서 발표한 '인구구조 변화와 소비 감소'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부문 최종 소비지출이 2017~2018년까지 증가세를 유지하다 이후에는 크게 둔화 또는 감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2020년 이후 감소 폭이 -2%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소비를 주도해온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 저출산에 따른 소가족화 등이 민간소비 위축의 이유다.
베이비붐 세대가 생산가능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86년 52.7%로 정점을 찍은 뒤 2019년(37.5
민간 소비 중 가구 소비는 2027년 감소세로 전환한다는 것이 보고서의 전망이다.
보고서는 "인구 절벽이 소비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시성 있는 분석과 베이비붐·외국인 등 세대별 소비 성향을 반영한 세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디지털뉴스국 손지영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