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27일 통계청 '2017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방식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5142만 명으로 전년(5127만 명)보다 15만 여명 증가했다. 이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4.2%인 711만5000명에 달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지 17년 만의 변화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한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적으로 빠른 편이다. 일본이 24년 걸린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전환속도는 7년이 빠르다.
반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619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0.3%인 11만6000명이 감소했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세로 전환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저출산 심화로 0~14세 유소년 인구는 663만2000명으로 2016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를 추월한 후 격차를 키우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유소년 인구보다 48만4
유소년 인구 대비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 지수는 107.3을 기록했으며 2016년(100.1)과 비교해 7.2 증가했다.
생산연령인구(15~64세) 대비 유소년 인구를 뜻하는 유소년 부양비는 18.6에서 18.3까지 감소했지만 노년 부양비는 18.7에서 19.1로 크게 증가했다.
[디지털뉴스국 손지영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