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이하 무협)는 기술 패권을 둘러싼 중국의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면서 전기전자·기계·철강 등 우리 기업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무협은 17일 발표한 '기술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통상분쟁'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15일 미국의 대중 제재 결정은 항공·정보통신·로봇 등 중국의 첨단 기술품목을 포함해 '중국 제조 2025'를 견제하되 TV·휴대폰 등 일반 소비재는 제외함으로써 자국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조치다.
미국이 발표한 1,102개 제재 품목은 2개 품목군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818개)는 지난 4월 2일 발표한 1333개 품목의 일부로 관세부과 대상 수가 줄어든 반면, 두 번째(284개)는 중국 첨단기술을 견제하는 신규 제재 품목이다.
우선 818개 품목은 오는 7월 6일부터 2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어서 우리 기업의 간접적인 피해가 예상된다고 무협은 밝혔다. 다만 지난 4월 무협이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존에 발표한 1333개 품목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국내 기업은 전체 응답기업(656개사)의 6.4%로 나타나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제재 품목에 우리에게도 민감한 가전·철강 등이 포함되지 않은 것도 긍정적이다.
반면 신규 284개 제재 품목은 미국이 중국의 첨단 기술분야를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전자·기계·철강 등이 들어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무협은 지적했다. 이들 품목은 공청회를 포함해 공시 및 의견수렴 절차를 남겨두고 있어 최
[황순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