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가장 먼저 도착한 김순용 KT 정책협력담당 상무 |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관계자는 15일 오전 성남시 분당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지하 1층에 마련된 경매장에 들어서기 전 취재진과 만나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가장 먼저 도착한 건 KT다. 김순용 KT 정책협력담당 상무는 "이번 경매는 우리나라 최초의 5G 주파수 공급으로 의미가 크다"면서 "4차산업혁명의 기반이 되는 주파수로 KT는 반드시 원하는 주파수, 원하는 대역폭을 확보해 국민들에게 세계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뒤이어 도착한 김학주 LG유플러스 공정경쟁담당 상무도 "정부의 주파수 경매 방안 확정 이후 철저히 준비해왔다"면서 "세계 최초, 최고의 5G 서비스를 위해 원하는 주파수 확보를 확보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임형도 SK텔레콤 정책협력실 상무는 "모든 만반의 준비를 다 마쳤다"면서 "주어진 경매 규칙에 따라 최선을 다하겠다. 결과는 나중에 보면 알게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5G 주파수 경매 대상은 3.5㎓(기가헤르츠) 대역 280㎒(메가헤르츠)폭, 28㎓ 대역 2400㎒폭 등 총 2680㎒폭이다. 주파수는 3.5㎓ 대역은 10㎒씩 28개, 28㎓ 대역은 100㎒씩 24개 블록이다.
이날 이통 3사 관계자 모두 구체적인 전락과 경매가 이날 끝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곳은 전국망 구축에 필요한 3.5㎓ 대역이다. 최저경쟁가격(시작가)은 3.5㎓ 대역 2조6544억원, 28㎓ 6216억원 등 총 3조2760억원이다. 경쟁이 치열해지면 큰 폭으로 오를 가능성도 있다.
열쇠를 쥔 건 LG유플러스다. SK텔레콤은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원하는 주파수를 확보할 전망이다.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 5G 시범서비스를 선보인 KT도 양보는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를 상대로 한 인수합병(M&A)을 고려 중인 LG유플러스가 얼마나 적어낼지가 관심사다.
한 사업자가 낙찰받을 수 있는 주파수 총량은 3.5㎓ 대역 100㎒폭, 28㎓ 대역은 1000㎒폭이다. 일각에서는 LG유플러스가 80㎒폭을 적어내 실리를 취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다만 LG유플러스 수장인 권영수 부회장이 5G를 3등 사업자에게 기회라고 평가해왔기에 쉽게 끝나지 않을 전망이다.
5G 주파수 경매장은 경매가 끝날 때까지 24시간 출입이 통제
[디지털뉴스국 박진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