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최근 연간 1500t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라인을 준공하고 이달부터 국내 최초로 생산에 돌입했다고 2일 밝혔다.
수산화리튬은 고성능 전기차용 배터리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공정관리가 까다롭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노트북·휴대폰 등 정보기술(IT) 기기용 배터리를 만드는 데는 주로 탄산리튬이 사용된다.
포스코는 폐이차전지에서 얻은 인산리튬에 전환농축 작업을 통해 80% 이상의 리튬을 회수할 수 있고 제조과정에서 고형 폐기물도 나오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불순물 함량도 경쟁사 제품보다 3분의1 수준으로 낮다고 강조했다.
포스코가 생산한 수산화리튬은 향후 인증절차를 거쳐 LG화학, 삼성SDI 등 국내외 배터리제조사에 판매될 예정이다. 국내 배터리업계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수산화리튬을 국산화해 국내 리튬이온전지 산업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리튬은 포스코의 핵심적인 신성장동력이며 지난 8년간의 노력으로 상업화 초기단계까지 왔다"며 "리튬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공급하지 못하는 소재를 포스코가 책임진다는 사명의식으로 주요 소재의 국산화에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지난 2010년 리튬직접추출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지난해 2월부터 광양제철소 PosLX 공장에서 탄산리튬을 생산하고 있다.
현재 포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