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균이 폐를 통해 들어와 몸의 여러 장기에 결핵을 유발하는 '호흡기결핵'은 70대 노인 이상에서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6년 호흡기결핵으로 진료받은 사람은 2016년 6만7784명이다.
연령대별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70대 이상이 2만1000명(30.8%)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50대(18.0%), 60대(16.1%), 40대(13.1%) 순이다.
한창훈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70대 이상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결핵균에 감염된다고 모두 발병하는 것은 아니지만 당뇨, 영양실조, 만성질환이 있어 면역기능이 떨어진 사람은 발병 위험이 크다"면서 "노인의 경우 만성질환자가 많고 노화로 면역기능이 저하돼 결핵에 많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호흡기결핵의 총 진료 인원은 지난 2011년 8만5260명에서 2016년까지 연평균 4.5%씩 감소해왔다. 2016년 환자는 남성 4만248명, 여성 2만7536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5배 많았다.
한 교수는 남성 발병률이 높은 이유에 대해 "흡연율이 높고 사회생활이 많은 것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호흡기결핵은 결핵
[김혜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