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세제개편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확실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예산, 세제, 금융, 규제개혁을 포함한 모든 가용한 정책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부총리는 "에코 세대 유입으로 앞으로 3∼4년간 청년 인구가 40만명 정도 늘어난다"며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재난 수준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10년간 21번 청년 일자리 대책을 냈는데 이젠 차별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수요자인 청년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통해 체감도를 높이고 민간 일자리 수요 창출, 제대로 된 일자리
그러면서 "청년 일자리 대책은 과거와 다른 방식의 접근을 요구받고 있다"며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아울러 대량 실업 위기에 처한 지역의 일자리를 지원하는 대책도 함께 토론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