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계가 미국의 3대 통상공세 대응에 나섰다. 최근 한미FTA 개정, 한국산 세탁기·태양광 세이프가드, 한국산 철강·알루미늄 수입규제 강화 등 미국의 한국 통상압력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경련은 이에 지난 26일 사흘간의 일정으로 미국 워싱턴D.C.에 투자대표단을 파견했다고 27일 밝혔다.
대표단에는 현대차, SK, 포스코, 롯데케미칼, 한화, 대한항공 등 미국 주요 투자기업의 임원들이 참여했다.
전경련 대표단은 지난 26일 현지에서 케이 콜스 제임스(Kay Coles James) 신임 헤리티지재단 회장과 면담을 가졌다. 윌버 로스(Wilbur Ross) 상무장관을 비롯한 미 상무부, 의회 인사등과 함께 미국 주 협의회 주최 만찬에도 참가했다. 대표단은 이 자리에서 최근 양국 간 통상이슈가 한미동맹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한국 기업이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대미 투자확대와 신규 일자리 창출 등 미국경제 발전에 기여한 부분을 피력했다.
전경련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투자액은 지난해 3분기 기준 전년 동기대비 65% 증가한 130억 달러를 기록,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또한 한국기업은 향후 5년간 삼성전자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공장 건설(약 950명), LG전자 테네시 가전공장 건설(약 600명) 등을 통해 2000명 이상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27일에는 미국 상공회의소 주최 '2018 인베스트 인 아메리카 서밋'에 참가해 트럼프 대통령이 1월말 발표한 1조 50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확충계획 등에 관한 설명을 청취했다.
또한 존 코닌(John Cornyn) 상원의원, 폴 레파게(Paul R. LePage) 메인주지사, 존 히켄루퍼(John Hickenlooper) 콜로라도주지사, 매트 베빈(Matt Bevin) 켄터키주지사 등과 새로운 대미 투자기회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이번 대표단 파견을 계기로 한미 간 통상마찰 심화
[디지털뉴스국 이상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