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수 고려대 교수 연구진이 인체의 감각기관을 원형에 가깝게 모사하여 전원 없이 작동하는 초정밀 '인공피부센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압력 및 터치 센서가 의료, 자동차, 항공, 가전,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됨에 따라 고민감 센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개발된 센서는 낮은 감도, 높은 구동전력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연구진이 개발한 피부센서는 외부 자극에 의해 이온이 이동하면서 신호가 전달되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서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구동될 수 있으며, 자극에 대한 빠른적응·느린적응의 두 가지 신호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혈압, 심전도, 물체 표면의 특징, 점자의 구별 등 매우 정밀한 감지 능력을 보였다. 빠른 적응이란 자극이 시작된 시점과 끝나는 시점에서만 반응신호가 발생하는 특성을 의미하며 느린적응은 자극이 시작돼서 끝나는 시점까지 연속적으로 반응신호가 발생하는 특성을 말한다.
한 교수는 "이 연구는 기존 실리콘 기반 방식과 다른 새로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9일자에 게재됐다.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