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방한한 배리 엥글 제너럴모터스(GM) 본사 해외사업부문 사장을 만나 경영난에 빠진 한국GM의 지원방안과 관련한 구체적 협의를 시작한다.
GM의 신차 배정 등 일정을 감안할 때 늦어도 이달 안에는 정부와 GM이 본격적인 협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GM측이 구체적인 경영 정상화 방안을 내놔야 한다는 조건이 달려 있다.
엥글 사장은 조만간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를 돌아가며 만나 지원요구안에 대한 협의에 들어갈 전망이다.
기획재정부 고위관계자는 21일 "GM측과 만나야 할 것"이라며 "만나서 구체적인 지원요구안을 듣고, 그게 합당한지 차분하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GM 측은 기재부에 회동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실사가 먼저 필요하고, 이를 전제로 한 GM 측의 안이 나오면 요구안이 합당한지, 다른 주주나 국민, 이해관계자를 설득할 합당한 근거가 있는지 판단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GM은 2대 주주인 산업은행의 재무실사를 받는 데 동의한 바 있다. 산은은 외부기관에 실사를 맡기기로 하고, 실사 범위 등 구체적인 세부사항에 대한 합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실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한국GM과 관련해 "경영정상화 계획을 보고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며 "협의에 신실하게 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날 엥글 사장이 22일 백운규 장관을 면담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지만, 백 장관의 기존 일정 때문에 성사 가능성을 크게 보지 않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GM이 장기적인 투자 계획과 불투명한 경영 문제 등에 대한 해법을 갖고 와야 의미 있는 대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와 GM이 최소한 이달 안에는 의미를 부여할만한 협상 테이블에 앉을 것이란 관측이
우리 정부는 지원안을 명확하게 하기에 앞서 실사가 전제돼야 한다고 밝힌 만큼 이달 안에는 지원안에 대한 의미있는 협의를 시작하는데 방점을 찍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