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재건축과 전쟁을 벌이는 정부가 이번엔 '안전진단 강화'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주거환경이 아무리 열악해도 무너질 위험이 있어야 재건축을 허용하겠다는 건데, 시장에서는 희비가 엇갈립니다.
김민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1985년 지어진 1단지를 시작으로 14개 단지가 차례로 재건축 가능 연한인 30년을 채우는 서울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 스탠딩 : 김민수 / 기자
- "주민들 사이에서 안전진단을 추진하는 모임까지 만들어졌지만, 이번 조치로 차질이 불가피해 졌습니다."
주차난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지만, 건물이 튼튼해 바뀌는 기준에 따르면 안전진단 통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목동 1단지 공인중개사
- "가장 큰 문제는 주민들도 주차문제라고 하거든요."
4만 2천 가구 규모의 강북권 대표 서민 아파트촌인 상계주공 아파트도 재건축 사업이 사실상 불가능해졌습니다.
반면, 집값 급등의 진원지였던 강남 재건축은 강화된 기준이 적용되는 단지가 많지 않습니다.
사업이 오래전부터 진행된 단지가 대다수여서, 압구정 현대와 대치 은마 등 초기단계 사업장들까지 안전진단을 통과했기 때문입니다.
실제 올해 재건축 연한이 도래한 서울 아파트 중 강남3구 비중은 1만 7천5백 채로 20%가 되지 않습니다.
▶ 인터뷰 : 고종완 /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
- "안전진단을 통과했거나 또 재건축 속도가 빠른 단지들은 상대적 희소성으로 인해 몸값이 높아지는 반사적 이익을…."
정부는 이번 조치에도 재건축 시장의 과열이 계속될 경우 30년으로 고정된 재건축 연한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MBN뉴스 김민수입니다.
영상취재 : 문진웅 기자
영상편집 : 한주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