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경기가 추가적으로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이에따라 경기안정을 위한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인데, 한국은행이나 국책연구기관과는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라호일 기자!
<정부 과천청사>
Q> 정부가 추가 경기위축 가능성을 언급했네요?
국내 경기위축에 대한 정부의 우려는 갈수록 강도가 더해지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 경제동향 보고서에서, 최근의 주요 경기지표들을 살펴볼 때, 우리경제가 경기의 정점을 통과해 하강국면에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 방송사 초청 정책포럼에서 언급한 내용과 같은 내용입니다.
정부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갔습니다.
향후에도 세계경제 둔화와 고유가 그리고 교역조건 악화 등에 따라 추가적인 경기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정부의 진단은 "경기가 완만하게 둔화되는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는 지난달 KDI 즉 한국개발연구원의 진단보다 우려가 깊은 것입니다.
이는 경기침체를 막기위해서는 경기부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재정부는 보고서에서 경기안정을 위한 정책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는데, 이에대해 재정부 관계자는 물가안정도 중요하지만 경기위축을 막는게 더 중요하다는 의미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이같은 입장은 한국은행이나 국책연구기관인 KDI의 견해와는 사뭇 다른 것입니다.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에 무게를 두며 어제 기준금리를 9개월째 동결
또 KDI는 경기위축보다는 물가불안의 심각성이 더 크다며 물가안정에 정책의 무게를 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경기부양 우선이냐 물가안정이 우선이냐를 둘러싼 논란을 계속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정부 과천청사에서 mbn뉴스 라호일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