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나 기업이 은행에 예금을 맡기고 좀처럼 꺼내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제 상황이 불확실한 탓에 경제주체들이 투자를 과감하게 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예금은행 요구불예금 회전율(예금 지급액/예금 잔액)은 19.1회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18.4회를 기록한 1986년 이후 가장 낮습니다.
요구불예금은 예금주가 지급을 원하면 언제든지 조건 없이 지급하는 예금입니다. 현금과 유사한 유동성을 지녀 통화성예금이라고도 부릅니다.
회전율이 낮을수록 경제주체들이 예금을 은행에 예치해둔 채 좀처럼 꺼내 쓰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5년 이래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1990년대 말까지 계속해서 상승하는 추세였습니다.
1999년에는 67회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들면서 우하향 곡선을 그렸습니다.
2000년대 말 소폭 반등하는 듯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34.8회를 끝으로 매년 내리막길을 탔고 결국 20회 미만까지 떨어지게 됐습니다.
통상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경제가 성장할 때 높아지고 둔화할 때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성장을 구가하던 1990년대까지 요구불예금 회전율이 높았다가 2000년대 들어 하강한 배경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난해 3년 만에 3%대 성장을 달성했는데도 전년보다 요구불예금 회전율이 떨어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완전히 부합하는 설명은 아닙니다.
지난해 요구불예금 하락은 그보다 경제 불확실성 확대, 성장 동력 약화와 관련 깊다는 시각이 많습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투자가 활발할수록 요구불예금 회전율이 높다"며 "예금에서 목돈을 꺼내 자영업을 하거나 투자에 나서더라도 확실한 이익을 거두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에 가계나 기업이 예금을 맡겨놓고 꺼내쓰지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저금리에도
금리를 낮추면 경제주체들이 은행 예금을 줄이고 소비·투자를 늘려 경기가 활성화해야 하지만 요구불예금 회전율이 낮을 때는 이 같은 경로가 작동하지 않을 공산이 커서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