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이 신입사원 공개채용때 인공지능(AI) 시스템을 서류 전형 평가에 처음 도입하기로 했다. 전형별로 4만건이 넘는 자기소개서를 철저하게 검증해 공정한 채용 문화를 일구기 위한 첫걸음이다.
롯데그룹은 올해 상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부터 서류전형에 처음으로 인공지능(AI) 시스템을 평가에 도입한다고 12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그룹 전 계열사가 참석한 채용담당자 워크샵과 올 1월 인사팀장 워크샵에서 잇따라 AI 도입을 논의한 후 전격 결정했다.
롯데정보통신과 국내 언어처리 전문기업이 함께 개발한 AI시스템은 3월 말부터 접수하는 신입사원 공개채용 입사지원자의 자기소개서 심사에 활용된다. AI는 서류전형에서 '인재상에 대한 부합도'와 '직무적합도', '표절여부'에 초점을 맞춰 지원서를 분석하고 지원자가 조직과 직무에 어울리는 우수 인재인지 판별하는 것을 지원한다.
우선 '인재상에 대한 부합도'는 우수 인재 성향과 패턴을 분석한 결과와 지원자 정보를 비교해 회사가 원하는 인재상과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예측하는 것이다.
'직무적합도'는 채용하고자 하는 직무의 특성이나 지원자격 요건과 지원자의 직무관련 경험 등을 비교 분석해 판단한다. 롯데는 직무 중심으로 선발하는 블라인드 채용 방식인 '롯데 스펙태클 채용' 에 직무적합도 분석을 집중 적용하고자 기존 직무 관련 과제 제출과 함께 직무 관련 보유역량 기술서를 추가로 접수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지원자들이 제출한 자기소개서 작성의 진위여부 검증을 돕기 위해 각종 인터넷 웹페이지·공공·학술자료 빅데이터와 연동해 표절이 의심되는 문장을 가려낸다.
롯데는 AI시스템을 백화점과 마트 등 주요 계열사에 시범 적용한 후 적용 계열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기존 서류전형 평가방법을 병행하고, AI 심사결과는 참고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앞으로 자기소개서 데이터가 축적되고, 관련 기술과 알고리즘이 정교해지면 반영 범위와 반영 비율을 점차 높여나갈 계획이다. 이후에는 경력사원 채용이나 직원 평가·이동·배치 등 인사 직무 전반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롯데는 채용 과정에 AI를 도입해 모든 지원자의 자기소개서를 세밀히 검토할 수 있어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고, 우수인재 발굴에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통상 전형별로 4만건의 자기소개서가 접수되는 것을 감안할 때 서류 전형 시간을 대폭 줄여 업무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
롯데 관계자는 "AI시스템 도입으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해지면서 능력 있는 청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I 채용은 신동빈 롯데 회장이 신년사에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강조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등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모든 사업 프로세스에 적용해야 혁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앞서 롯데는 지난 2016년 말 한국 IBM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클라우드 기반 인지 컴퓨팅 기술인 왓슨 솔루션을 도입해 다양한 사업에 AI 도입에 적극 나섰다. 롯데제
[이한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