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을 앞두고 신선식품 물가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올겨울 내내 이상한파가 기승을 부린 데다 겨울철 채소 주산지인 제주 지역에 기록적 폭설이 내리면서 무, 배추, 대파, 애호박, 오이 등 채소류의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무 평균 소매가는 개당 2천511원으로 전월 동기 대비 49.1% 급등했습니다.
배추 평균 소매가도 포기당 4천307원으로 지난달보다 45.4%나 올랐고, 대파도 ㎏당 4천24원으로 전월보다 34.3% 껑충 뛰었습니다.
애호박은 개당 2천644원으로 전월보다 64.7%, 시금치는 ㎏당 6천95원으로 16.5%, 오이(가시계통)는 10개당 1만5천493원으로 53.3% 각각 평균 소매가가 올랐습니다.
최근 청탁금지법 개정에 따라 설 선물세트로 인기를 끌고 있는 한우도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한우 갈비는 지난 9일 기준 평균 소매가가 100g당 5천340원으로 전월 동기 대비 6.2% 올랐고, 한우 등심은 100g당 8천206원으로 지난달보다 가격이 2.1% 상승했습니다.
설 선물세트로 인기인 사과 평균 소매가(10개 기준)도 9일 기준 2만1천134원으로 전월 동기보다 4.3% 올랐지만, 배는 10개 기준 2만7천751원으로 전월보다 2.4% 하락했습니다.
배와 닭고기, 계란 등 일부 가격이 하락한 품목도 있지만 상당수 품목이 2월 들어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이달 초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0% 오르는 데 그쳐 물가가 안정되는 듯이 보였지만, 2월 들어 채소류를 중심으로 주요 신선식품 물가가 큰 폭으로 뛰면서 서민 가계의 부담이 커진 것입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올겨울 내내 이상한파가 이어지면서 주요 채소류의 생육이 부진했던 데다 최근 겨울철 채소류의 주산지인 제주 지역에 폭설이 쏟아지면서 출하작업을 하지 못했던 것이 신선식품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러한 신선식품 물가 상승세와 함께 최저임금 16.4% 인상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부터 각종 외식물가가 큰 폭으로 뛰고 있는 것도 설 물가 부담을 더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통계청이 최근
유통업계 관계자는 "1월에는 외식물가 상승률은 높았던 반면 신선식품 물가는 안정된 추세를 보였지만 2월 들어서는 한파와 제주지역 폭설이 겹치면서 설을 앞두고 신선식품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