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1인당 부담해야 할 국가채무가 1천300만원을 돌파했습니다.
국민 1인당 국가채무 부담액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10년 만에 2.1배로 늘었습니다.
11일 국회예산정책처의 국가채무시계에 따르면 10일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부담해야 할 국가채무는 1천300만4천754원에 달해 2008년 631만원에 비해 10년새 2.1배로 늘었습니다.
같은 날 기준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는 671조5천38억원으로 지난해 말(666조9천억원) 대비 4조6천38억원 가량 늘어났습니다. 역시 2008년 기록했던 309조원에 비해서는 10년 새 2.2배가량 늘었습니다.
국가채무시계는 나랏빚에 대한 경각심을 주기 위해 국회예산정책처가 2013년부터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정부 예산 사용에 맞춰 시계 침 돌아가는 속도가 바뀝니다.
예산정책처는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를 666조9천억원으로 추정했고, 올해는 국회에서 확정된 예산 기준으로 708조2천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가채무시계는 1초에 131만 원의 나랏빚이 늘어나는 것으로 설계됐습니다.
국가채무(D1)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정부 이외의 민간이나 해외에서 빌려 쓰고 갚아야 할 빚입니다. 보증채무나 4대 연금의 잠재부채, 공기업 부채, 통화안정증권은 제외됩니다.
국제통화기금(IMF) 기준에 따르면 정부가 직접적인 상환의무를 부담하는 확정채무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는 1997년에 60조3천억원 수준이었지만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재정지출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2000년에는 111조2천억원으로 나랏빚 100조 시대가 열렸고 4년만인 2004년(203조7천억원) 200조원을 돌파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309조) 300조원을 넘었고, 2011년 400조원, 2014년 5
아직 결산이 끝나지 않았지만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는 670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그해 국가채무를 통계청 추계인구로 나눈 국민 1인당 국가채무는 2000년 237만원에서 2005년 515만원으로 2배로 뛰었고, 2008년 631만원을 기록한 데 이어 2014년 1천만원을 돌파한 뒤 급증세를 멈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