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제공 = 산업통상자원부/상가정보연구소] |
8일 공정거래위원회의 2017년 정보공개서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전국 편의점 수는 3만5977개(가맹점 3만5222개, 직영점 722개)로 파악됐다. 업계는 중소 프랜차이즈와 개인 점포를 합하면 국내 편의점 수가 이미 4만개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신규 개점한 편의점 수는 6324개였으며 폐점한 편의점 수는 2001개였다. 편의점 1곳이 사라질 때 3곳이 새로 생긴 셈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사에서도 지난해 편의점 수는 전년 대비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U·GS25·세븐일레븐 등 메이저 업체를 비롯해 후발 주자인 이마트24가 점포 늘리기에 합류하면서 증가 추세가 이어졌다. 외식업 프랜차이즈보다 점포 운영이 쉽고, 창업비용이 적게 들어 창업자들의 선호도가 높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편의점을 개점하면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이란 막연한 환상은 금물이라고 업계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외형적으로는 편의점 업계 매출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지만, 이는 점포 증가에 따른 착시효과일 뿐 실제 점포당 매출은 감소세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편의점의 전년 대비 매출은 2015년 26.5%, 2016년 18.2%, 2017년 10.9%로 매년 두 자리 수 신장률을 보였다.
반면 편의점 점포당 매출(전년 동월 대비)은 지난해 2월 사상 처음으로 감소(-3.5%)한 이후 3월(-1.9%), 4월(-2.4%), 5월(-3.5%), 6월(-3.2), 7월(-3.3%), 8월(-5.2%), 9월(-2.2%), 10월(-3.0%), 11월(-3.1%), 12월(-2.9%) 등 11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편의점 개점 증가 속도가 매출 신장 속도를 따라잡으면서 점포당 매출이 감소세에
[디지털뉴스국 최진선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