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치매 정복'을 위해 향후 10년간 총 1조원을 투입한다. 4일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치매 연구개발(R&D) 사업 기획안을 오는 5~6일 열리는 공청회에서 발표한다고 밝혔다. 치매 원인을 찾고 정부 차원의 예방, 관리를 본격화하기 위해 2019년부터 2028년까지 총 1조105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치매환자 관리비용이 치솟자 대대적으로 '치매와의 전쟁'을 선포한 것이다.
이번 사업은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낮추는 데 중점을 뒀다. 지난 한 해 70만명이었던 국내 치매환자 수가 2050년이면 303만명으로 약 4.3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더 이상 관련 R&D를 늦출 수 없다는 정책적 판단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체 노인 인구 가운데 치매 환자 비중도 같은 기간 9.9%에서 16.8%로 가파르게 커질 전망이다. 현 추세대로라면 2050년 노인 6명 중 1명은 치매를 앓게 된다는 얘기다. 치매관리비용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5년 13조2000억원(0.9%)에서 2050년 105조5000억원(3.8%)으로 늘어나게 된다. 정부는 이 같은 비용 경감을 위해 앞으로 10년간 원천기술 개발부터 임상 연구, 실용화까지 염두에 둔 투자를 단행키로 했다. 가장 먼저 치매 원인을 규명해 고위험군 환자를 조기 발굴하고 발병을 늦추는 데 주력한다. 이와 동시에 조기 진단을 돕기 위해 혈액과 체액에 기반을 둔 진단기술을 개발하는 등 진단, 돌봄, 인프라 구축 등 전주기를 아우르는 연구개발(R&D)을 전폭 지원하기로 했다. 비용은 정부에서 80.8%, 민간에서 12.0% 부담한다. 치매 치료제 개발도 지원한다. 정부는 치료제 개발을 통해 10년 뒤 치매 발병 나이를 최소 5년 늦추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한 번 발병하면 완치될 수 없고, 계속 관리해야 하는 치매 특성상 발
또 치매 개방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기초·임상 통합 연구 플랫폼 등 연구자 친화적인 인프라도 구축하기로 했다. 환자의 생전 인지기능검사 등이 담긴 임상 정보, 혈액 및 뇌척수액 등의 인체 자원을 관리하는 뇌 조직 은행도 만든다.
[김윤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