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인인증서 제도를 폐지하기로 결정하면서 대체기술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블록체인과 생체인증 등 다양한 기술들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연내 법령 개정을 통해 공인인증서의 우월적 지위를 폐지하고 사설인증과 동일한 효력을 갖게 할 방침이다. '공인'이라는 타이틀을 제거해 일반 인증수단과 똑같이 경쟁시키겠다는 의미다.
공인인증서는 1999년 전자서명법과 함께 도입됐다. 애초 계약 성사를 확인하는 전자서명 용도로 만들어졌지만, 공공 및 금융기관에서 본인 확인용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인인증서는 자체 보안성이 뛰어나지만, 파일 형태로 컴퓨터에 저장돼 해킹에 취약했다. 또한 설치를 위해서는 액티브X 등 각종 실행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돼 이용자의 불편함이 컸다.
불편함의 이유로 액티브X 등 별도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는 노 플러그인 방식을 대안으로 택하는 경우가 많다. 간편 송금이 대표적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공인인증서가 아닌 인증 수단을 활용한 간편 송금 서비스는 2016년 10월 말 기준 금융회사 10개에서 14개였다. 작년 8월 말에는 15개사 21개로 늘었다. 주요 사례로는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로 인증하는 하나은행과 카카오톡 메시지로 인증하는 카카오뱅크·부산은행, QR 코드로 인증하는 국민은행 등이다.
카카오페이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설인증을 선보여 6개월 만에 가입자 20만 명을 끌어모았다. 기존의 공인인증서 기반 전자서명과 달리 복잡한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어 간편한 점이 장점이다. 국내 11개 증권사도 지난해 10월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인증 시범 서비스를
생체인증도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생체인증은 위조나 해킹이 어렵고 간편하다는 점을 앞세워 빠르게 시장을 확대 중이다. 삼성페이와 LG페이 등은 스마트폰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생체인증 서비스를 도입했다. 금융권에서도 이와 앞다퉈 도입 중이다.
[디지털뉴스국 이지영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