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지표 경기는 나아지지만 체감경기 회복세는 부진한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김천구 연구위원이 7일 발표한 '2018년 국내 10대 트렌드'에 따르면 한국경제는 올해 수출 경기가 이끄는 경제 성장세 지속으로 지표 경기 회복 흐름이 유지되는 반면 국민이 느끼는 체감경기 회복세는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국내 경제는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라 수출 경기가 나아지며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내수 산업은 부진이 지속하고 민간소비 회복세는 강하지 않을 전망이다.
여기에 유가가 올라 물가 상승률이 확대하고 고용 개선세가 미흡해 체감 경제 고통이 커질 우려도 도사리고 있다.
Z세대 시대가 도래한다는 점도 올해 10대 트렌드로 꼽혔다.
Z세대는 1995∼2005년에 태어난 세대로,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 문화를 접하고 소비했다.
올해는 Z세대 중 성인이 약 336만명으로 5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해다. 이 때문에 Z세대 주요 의사소통 수단인 모바일기기가 주요 매체로 부각할 전망이다.
정규직보다 계약직이나 임시직 인력을 고용하는 경향이 커지는 경제 상황을 일컫는 '긱 경제'(Gig economy)의 유연안정성(Flexicurity) 실험도 올해 두드러질 특징으로 꼽혔다.
개인 효용을 극대화하는 'STEEP' 소비도 올해 트렌드로 선정됐다.
STEEP 소비는 공유형(Sharing), 웰빙형(Toward the health), 실속형(cost-Effective), 경험형(Experience), 현재형(Present) 소비로, 카셰어링·웰빙 간편식 소비·쿠킹과 같은 여가 연계 소비·국내외 여행·맛집 탐방 등을 아우른다.
[디지털뉴스국]
![]() |
↑ 한파에 한산한 전통시장 (전주=연합뉴스) 정경재 기자 = 전북 전역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권을 기록한 14일 오전 전주 남부시장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7.12.14 jay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