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1일 내년 역시 우리 경제의 역시 많은 불확실성과 리스크 요인들이 도사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본관에서 경제 동향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최근의 예에서 보듯 글로벌 시장에서 보호무역 움직임이 더욱 구체화될 것으로 보이는 데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리스크가 잠재돼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올 한해 우리 경제에 대해 "예상치 못했던 사건들이 연이어 나타났던 그야말로 '초불확실성'의 시대였다"며 "대통령 탄핵사태, 북핵 리스크 증대,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과 같은 불확실성이 유독 많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이 총재는 "우리경제는 이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3%대 성장률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글로벌 경기회복 흐름을 활용해 세계 주요 수출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출증가율을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내년 경제에 대해서 "북한 리스크와 같은 돌발변수가 없다면 이를 바탕으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날 간담회에서는 내년 우리 경제의 흐름을 짚어보고 중요한 이슈들을 논의할 예정이다"며 "가계부채 문제, 청년실업, 저출산 등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을 더 이상
이날 간담회에는 전성인 홍익대 교수, 이종화 고려대 교수, 손욱 경제연구원장, 권주안 주택산업연구원장, 신성환 한국금융연구원장, 염용섭 SK경영경제연구소장, 박홍제 현대차그룹 글로별경영연구소장 등이 함께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