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이 기업화되고 농산물도 공산품처럼 규격화된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되는 시대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마다 농산물 '공동브랜드'를 개발해 상표출원을 하는 것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특허청에 따르면, 200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각 지자체의 농산물 관련 상표출원이 총 4340건이었다. 이는 지자체의 전체 상표출원건수 1만5688건의 27.6%에 해당한다. 매년 평균 400건이 넘는 출원건수로, 농산물이라는 하나의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으로서는 매우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광역자치단체별로 보면 전라남도가 857건으로 가장 많은 출원을 했다. 그 다음 경상북도 848건, 강원도 500건, 충청남도 420건순이었다. 시군별로는 경상북도 안동시 170건, 울진군 112건, 제주시 106건, 전라남도 담양군 104건 순으로 농산물 상표를 출원했다.
각 지자체가 출원한 농산물 상표들은 많은 비용과 노력을 들여 지자체가 직접 상표를 개발 및 출원해 소속 농민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한 '공동브랜드'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경상북도의 통합 과수브랜드 'daily'는 전국 점유율이 높은 자두, 복숭아, 포도, 사과 4개 품목 중 품질이 우수한 상위 50%에만 사용할 수 있게 허가해 브랜드의 이미지 관리에 철저한 '공동브랜드'다. 농협중앙회의 멜론 브랜드 'K-melon' 도 전국 연합브랜드로 국내 유통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해외시장 개척에도 주력해 연 100만불 이상의 수출실적을 달성 중인 '공동브랜드'다. 또 김제의 '지평선'은 당초 '쌀' 브랜드로 상표등록된 것이 점차 다른 농산물에도 '공동브랜드'로 확대 사용돼다가, 지금은 지역축제행사 브랜드로도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