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기부전, 전립선비대증 등 대표적인 '남성질환' 진료비가 최근 5년간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총 진료비는 1조8100억원이었고, 환자 1인당 진료비는 35만원 수준이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발기부전, 전립선비대증 연령별 진료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2년 6억 9700만원 이었던 발기부전 진료비는 지난해 9억2100만원으로 약 32% 늘어났다. 환자 수는 1만5167명에서 1만6307명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1인당 진료비 지출이 4만6000원에서 5만6000원으로 약 1만원 늘었다. 환자수 기준으로는 50대(28.3%), 60대(23.6%), 40대(17.8%) 등 중년층의 비중이 높았지만, 20대·30대 환자들의 증가세가 도드라졌다. 20대는 2012년 681명에서 2016년 905명으로 33% 증가했다. 30대도 같은 기간 12% 늘었다. 학업, 취업 등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각종 스트레스와 음주, 흡연, 운동 부족 등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습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80대 이상 노인 환자도 188명에서 310명으로 65% 늘었다.
20대·30대의 경우, 병원 진료와는 별도로 해당 치료제를 온라인 등에서 불법 구매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주의가 요구된다. 2015년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발표에 따르면 불법유통 발기부전치료제 이용자는 20대가 가장 많았고, 30대가 뒤를 이었다. 기동민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연도별 발기부전 치료제 온라인 불법판매 적발건수 역시 2012년 2383건에서 2016년 1만342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안 전립선비대증 진료비도 증가세를 보였다. 2012년 총 진료비는 3100억원에서 2016년 4221억원으로 약 36% 늘어났다. 같은 기간 환자 수는 89만9183명에서 113만4082명으로 26% 늘어났다. 환자 1명 당 진료비 지출은 34만5000원에서 37만2000원으로 커졌다. 60대·70대가 전체 환자의 60% 이상을 차지해 전립선비대증이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임이 확인됐다. 60대 환자가 159만5700명으로 전체의 31.3%였고, 70대 환자는 148만4509명으로 29.2%였다. 그 뒤를 50대, 80대 이상, 40대, 30대 등이 이었다. 전립선비대증은 전립선의 일부가 비대해지면서 요도를 압박하고, 이로 인해 배뇨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20대·30대의 경우, 환자가 많지는 않지만 증가속도가 빨랐다. 20대는 2012년 1221명에서 지난해 2053명으로 68% 급증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30대도 23% 늘었다. 서구화된 식습관, 자리에 오래 앉아있는 생활태도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전립선비대증 치료제를 탈모치료제 대용으로 쓸 목적으로 병원에
기동민 의원은 "통계로 잡히지 않는 건강보험 비급여 치료제 등을 감안했을 때 남성질환으로 인한 실질적인 의료비 지출은 이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령대, 생활환경 등에 따른 예방대책 및 관리방안 마련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