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녹십자는 29일 본사 목암빌딩 강당에서 회사 창립 50주년 지념식을 열었다. [사진 제공 = 녹십자] |
이 자리에는 허일섭 회장을 비롯해 녹십자·녹십자엠에스·녹십자랩셀 등 계열사 임직원이 참여해 다음달 5일인 창립 50주년을 자축했다. 오창공장과 전남 화순공장 등 전국의 사업장, 중국·캐나다의 GC차이나·GCBT 등 해외 법인에 근무하는 직원들까지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해 이날 창립기념식에 참여했다.
허일섭 회장은 지난 50년은 아무도 가지 않을 길을 개척하며 시련과 시행착오도 겪었지만 글로벌 공략에 한걸음 다가설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며 "앞으로 정도 경영과 더불어 연구개발에 매진해 거대 신약을 개발해 글로벌 건강산업의 리더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967년 수도미생물약품판매주식회사로 제약업에 첫 발을 내디딘 녹십자의 창립 첫 해 매출액은 1276만원에 불과했다. 50년이 지나는 동안 매출 규모는 9만배 넘게 늘어 지난해 1조1979억원을 기록했다. 또 지난 1972년 이후 지난해까지 45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기도 하다. 지난 반세기의 역사는 '최초·최다·최대'로 압축된다고 녹십자는 강조했다.
녹십자가 혈액제제와 백신 사업에 뛰어들었던 1960년대 의료계에는 혈액제제에 대한 개념조차 생소했다. 지금은 회사의 주력 제품인 백신은 수익성이 떨어져 국가주도 사업이라는 인식이 팽배했다. 하지만 녹십자는 필수의약품의 국산화를 고집했다. 그 결과 현재 녹십자가 만드는 백신과 혁액제제는 세계 50여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녹십자는 지난 1971년 국내 최초이자 세계 6번째 혈액제제 공장을 완공한 뒤 알부민 등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필수의약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후 소변이 원료인 혈전용해제 '유로키나제'를 개발해 지난 1979년 제약사 최초로 수출 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어 B형간염백신, 계절독감백신, 신종플루백신 개발에 성공하며 성장을 거듭했다. 특히 '헤파박스-B'는 녹십자가 12년 동안 연구·개발(R&D)에 매달린 결과 세계에서 3번째로 판매되기 시작한 B형간염백신이 됐다. 그 전까지 한국의 B형간염 보균율은 13%에 달했지만 헤파박스-B가 개발된 뒤 2~3% 수준으로 낮아졌다.
또 녹십자는 지난 2009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신종플루 팬데믹(대륙간 대유행) 사태 당시 세계에서 8번째로 신종플루백신 개발에 성공하기도 했다. 당시 세계적으로 신종플루가 유행해 생산물량을 수출했으면 막대한 이익을 챙길 수 있었지만, 국내 우선 공급 원칙을 고수했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환자 수가 적어 많은 수익을 올리지 못하는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투자를 계속해온 녹십자는 국내 희귀질환 치료 환경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국내 환자 수가 70여명에 불과한 헌터증후군 치료제와 혈우병 환자들을 위한 혈우병치료제 등 만들기 어렵지만 반드시 있어야 할 의약품 개발에 적극 나서며 수입에 의존하던 치료제를 대체했다.
녹십자는 세포치료제 개발과 북미 회사의 미래를 걸고 있다. 실제 최근 5년새 연구개발 비용을 2배 가량 늘렸고, 아시아 최대 세포치료 연구시설을 갖춘 '셀센터'를 건설 중이다. 또 캐나다 혈액제제 공장이 완공되면 녹십자는 세계 5위권인 270만ℓ 규모의 혈장 처리 능력을 갖추게 된다.
녹십자는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