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농·축·수산물과 과일값이 크게 오르는 등 물가가 석 달째 2% 이상 올랐다.
물가가 3개월 연속 2% 이상 오른 것은 2012년 6월 이후 처음이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이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2.1% 상승했다.
지난 8월 2.6% 상승보다는 폭이 다소 줄었지만, 올해 1월부터 이어오고 있는 2% 내외 상승 폭은 유지했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6.1%나 올랐다.
추석을 앞두고 성수품 가격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신선과실이 21.5%나 오르면서 지난 6월 이후 4월 이후 4개째 20%대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4.8% 올라 전체 물가를 0.41%포인트(p) 높였다.
특히 농산물은 5.2%, 수산물은 6.1% 상승했다. 다만 채소류는 4.2% 내려 4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와 관련해 통계청은 지난해 9월 폭염 탓에 출하량이 줄어 채소 가격이 급등했던 데에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조류 인플루엔자(AI) 여파로 고공행진을 했던 계란값은 살충제 파문 등으로 지난달 53.3% 상승에 이어 이달 24.4% 오르면서 상승 폭이 줄었다.
서민들의 체감 물가인 생활물가 지수도 2.9% 상승했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전년 동월 대비 채소류만 떨어지고 나머지 대부분이 올랐다"며 "국제 유가 상승으로 석유류 가격도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