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한창산업 홈페이지 |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창산업은 최근 바나듐 RFB용 전해액 개발을 완료했다. 현재 시제품을 생산한 상태로 매출 수요처를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RFB는 양극·음극·전해액 등 배터리 내부에 아연, 브롬, 바나듐 등의 물질을 넣어 전해액을 흘려주면 이 물질이 전기화학 반응을 일으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제품이다. 환원·산화 흐름을 이용해 전기를 저장하고 펌프를 이용해 전해액을 전달하는 과정 때문에 흐름 전지라고 불린다. 일반적인 2차전지 대비 수명이 길고 배터리 재생 시 전해액만 교체하면 돼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창산업 관계자는 "현재 RFB용 전해액을 개발 완료해 시제품을 내놓은 상황"이라면서 "향후 납품처 등 아직 가시화 된 부분이 적지만 기술 개발을 완료한 것은 맞다"고 밝혔다.
RFB는 향후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 등의 시장에서 리튬이온전지(LIB), 납축전지 등을 대체할 것으로 관측된다. 2차전지는 전력을 저장했다 필요한 시기 공급해 에너지저장장치의 핵심 요소로 꼽히지만 최근 공급부족으로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주류를 이루고 있는 리튬이온배터리의 경우 점차 성능 개선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 장기적으로 리튬이온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이 시급하다는 얘기다. 이에 롯데케미칼, OCI, H2 등 국내 여러 업체들은 이미 발빠르게 RFB 시장에 뛰어들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도 한창산업은 바나듐 전해액 외에 아연브롬(Zn-Br) RFB용 전해액도 개발 완료했다. 바
한편, 에너지기술연구원은 RFB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면 전기차 등에 적용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에 롯데케미칼은 최근 RFB의 전기차 활용 여부를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디지털뉴스국 김경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