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이 단일 질환으로는 국내 사망 원인 3위를 차지하고 있는 뇌졸중의 시작이 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강시혁, 최동주 교수팀은 2003~13년 약 9만 7000명의 국민건강보험 코호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심부전 환자의 뇌졸중 위험이 연간 2.2%로 일반인의 0.6%보다 무려 4배 가까이 높았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심장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를 통해 발표됐다.
심부전은 모든 심장질환의 '종착역'이라고 불린다. 심근경색, 협심증 등 각종 심장질환으로 인해 심장에 손상이 축적되면 결국에는 신체조직에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인 심부전으로 발전하기 때문인데, 한 번 발병한 후에는 완치가 어렵고 5년내 사망률이 50%에 달해 대부분의 암보다 더 치명적인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심부전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다. 대표적 증상인 호흡곤란과 부종, 피로감 등을 노화의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심부전은 제때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예후가 급격히 나빠져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중한 질환이며, 고혈압 등 만성질환과 심뇌혈관질환을 동반할 수 있어 경계를 늦춰선 안 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같은 심부전 환자 중에서도 고령, 고혈압과 당뇨, 뇌졸중 과거력이 뇌졸중 위험을 더욱 높이는 위험 요소임이 확인됐는데, 실제로 65세이상의 심부전 환자는 뇌졸중 발병 위험이 약 2배, 75세이상은 3배까지 발병 위험이 높아졌다. 고혈압이 있는 심부전 환자는 뇌졸중 위험이 1.41배, 당뇨가 있으면 1.36배, 뇌졸중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1.58배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됐다.
또한 심장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해 맥박이 불규칙적으로 뛰는 '심방세동'을 동반한 심부전 환자는 뇌졸중 위험이 특히 더 높다고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시혁 교수는 "주로 노인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심부전은 고령화 사회에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